교과교육론의 레스트의 도덕심리학에 대해 알려줘.

 레스트(James Rest)의 도덕심리학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계승하고 확장한 것으로, 도덕적 판단뿐 아니라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전 과정을 설명하려는 통합적 접근이다. 그는 사람이 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 외에도 여러 심리적 요소가 작용해야 한다고 보고, 이를 네 가지 구성요소로 체계화하였다. 이것이 바로 **레스트의 네 구성요소 모형(Four Component Model)**이다. 각 요소는 순차적이면서도 상호작용적이며, 어느 하나라도 결핍되면 도덕적 행동으로 이어지기 어렵다고 본다.

1. 도덕적 민감성 (Moral Sensitivity)

도덕적 민감성이란 어떤 상황이 도덕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인식하고, 그 상황에서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감정, 필요, 권리 등을 이해하며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도덕적 상황을 '인지하는 능력'으로, 타인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는 공감 능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친구가 부당하게 차별을 당하는 상황을 목격했을 때, 그 상황이 단순한 개인 간의 갈등이 아니라 정의의 문제임을 인식하는 것이 도덕적 민감성이다.

2. 도덕적 판단 (Moral Judgment)

도덕적 판단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 혹은 더 도덕적인 행동이 무엇인지를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다. 이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영역으로, 가치와 원칙을 바탕으로 행동을 평가하고 결정하는 인지적 과정이다. 예컨대, 친구를 도울 것인가 아니면 규칙을 지킬 것인가 하는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더 정의로운지를 따져보는 사고 과정이 여기에 해당한다. 도덕적 판단은 도덕적 행동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 도덕적 동기화 (Moral Motivation)

도덕적 동기화는 도덕적으로 옳다고 판단한 것을 실제 행동의 우선순위로 삼고, 그 가치를 실천하고자 하는 내적 동기를 의미한다. 이는 자신이 믿는 도덕적 가치가 개인적 이익, 사회적 압력, 감정적 유혹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태도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부정행위를 하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지만, 정직이라는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겨 부정행위를 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도덕적 판단을 했더라도 이를 행동으로 옮기려는 동기가 없다면, 도덕적 행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4. 도덕적 실행 능력 (Moral Character or Moral Implementation)

도덕적 실행 능력은 도덕적으로 옳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실행하려는 동기가 있더라도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의지력, 인내, 용기, 자기통제력 등을 포함하는 실행적 능력을 말한다. 도덕적 행동에는 종종 개인적 손해나 불이익이 따를 수 있기 때문에, 도덕적 용기와 실천력이 필요하다. 예컨대, 친구가 괴롭힘을 당하는 것을 보고 나서 도와야겠다고 판단하고, 그렇게 하기로 마음먹었지만, 실제로 괴롭히는 아이들에게 맞설 용기가 없다면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할 수 있다.


레스트의 이론은 도덕성 발달을 단순히 ‘도덕 판단의 수준’으로만 이해하지 않고,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복합적 심리 과정으로 확장시킨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는 도덕교육이 단지 올바른 판단을 하도록 돕는 것을 넘어, 도덕적 민감성을 키우고, 내면의 동기를 고양시키며, 실행할 수 있는 실천적 역량을 기르는 전인적 접근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통합적 시각은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학생들이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인지적·정서적·실천적 요소가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는 도덕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공감 교육, 실천 교육, 그리고 가치 중심 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론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교과교육론의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에 대해 알려줘.

교과교육론의 여성주의 접근법1:길리건에 대해 알려줘.

교과교육론의 나바에즈의 도덕심리학과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에 대해 알려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