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육론의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에 대해 알려줘.

 블라지(Blasi)의 도덕적 정체성(moral identity) 이론은 도덕적 행동을 단순히 판단이나 상황에 의한 결과로 보지 않고,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도덕성의 통합 수준에서 설명하려는 심리학적 접근이다. 블라지는 콜버그나 레스트처럼 도덕 판단이나 과정 중심 이론을 인정하면서도, **왜 어떤 사람은 도덕적으로 판단하고도 행동하지 않는가?**라는 문제에 주목했다. 그는 결국 도덕적 행동은 자아의 중심에 도덕성이 얼마나 깊이 자리 잡고 있는가, 즉 도덕적 정체성이 얼마나 강한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았다. 그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과 순서를 통해 설명된다.


1. 도덕적 정체성의 개념

블라지는 도덕적 정체성을 자신의 자아 개념 속에 도덕적 가치와 신념이 얼마나 깊숙이 통합되어 있는가를 의미하는 심리적 구조로 정의한다. 다시 말해, “나는 도덕적인 사람이다”, “나는 정직과 정의를 중요하게 여긴다”와 같은 자기 인식이 뚜렷할수록, 그 사람의 행동은 도덕적 신념과 일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정체성은 단순한 가치 선호나 도덕적 판단 능력 그 이상으로, 자신의 인격과 정체성의 핵심 일부가 도덕성이라는 인식이다. 이 인식이 강할수록, 개인은 자신이 믿는 도덕적 원칙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수 없게 되고, 도덕적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내적 동기가 생긴다.


2. 도덕적 정체성과 자아 통합

블라지는 도덕적 행동이 도덕적 자아와 실제 자아 간의 통합 정도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핵심은 ‘정체성 통합’이다. 도덕적 가치가 단지 외부의 규칙이나 타인의 기대에 의해서가 아니라, 내적 자아의 중심에 깊이 자리 잡아야 진정한 도덕적 정체성으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이런 통합은 성찰과 자기 이해를 통해 점차 형성된다. 즉,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고 싶은지를 고민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도덕적 정체성이 통합되면, 도덕적 행동은 외적 보상이나 처벌이 아닌 **자기 충실성(self-consistency)**을 위한 행동이 된다.


3. 도덕적 정체성의 작용 방식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판단과 행동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판단만으로는 행동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나 도덕적 정체성이 강한 사람은 도덕적 기준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할 경우 심리적 불편감(인지 부조화)을 느끼고,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도덕적 선택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자신의 자아상이 도덕적일수록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려는 내적 동기가 강하게 작동한다.

예를 들어, 정직이 자아 정체성의 중심을 이루는 사람은 시험에서 커닝 기회를 마주했을 때, 단순히 규칙 때문이 아니라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커닝을 거부하게 된다. 이는 외부 통제나 규칙보다 **자기 규율(self-regulation)**과 자기 이미지 유지가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의미다.


4. 도덕 교육에의 시사점

블라지의 이론은 도덕 교육에서 단순한 지식 전달이나 판단 훈련을 넘어, 학생의 도덕적 자기 인식과 정체성 형성에 주력해야 함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 학생들이 자신의 가치와 삶의 방향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도덕적 경험을 통해 ‘나는 어떤 사람인가’를 고민하게 하며, 도덕적 특성을 자아 개념에 통합하게 해야 한다.

  • 교사는 도덕적 본보기로서 도덕적 정체성 형성의 모델이 되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관계와 피드백을 통해 성찰을 유도해야 한다.

  •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된 학생은 외적 보상 없이도 도덕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자율적 도덕성의 궁극적인 목표와도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은 도덕 행동을 단지 외적 규범이나 상황이 아니라 자기 정체성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함으로써, 도덕성과 자아 발달 간의 깊은 연계를 보여준다. 이는 교과 교육, 특히 도덕 교육이 **‘어떤 행동을 하게 할 것인가’**보다 **‘어떤 사람이 되게 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함을 뚜렷하게 시사하는 이론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교과교육론의 여성주의 접근법1:길리건에 대해 알려줘.

교과교육론의 나바에즈의 도덕심리학과 통합적 윤리 교육 모형에 대해 알려줘.